일반자료실
커뮤니티 > 일반자료실

아이들은 죽음 이별 상실을 어떻게 받아들일까? 8

조회409

/

덧글0

/

2014-11-27 18:01:29

관리자 (empathy)
본문 폰트 크기 조절 원래대로

MOURNING IN CHILDREN AND ADULTS

어린이가 애도하지 않는다는 전통적인 지식의 또 다른 근거는 어른의 현상에서 어린이의 현상을 추론하는 것이 우리를 잘못 이끌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어른의 증상을 연구하고 어른의 관찰에서 얻어진 기준을 사용하는 한 우리는 어린이의 애도를 이해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다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우리는 상실에 대한 어린이의 반응을 관찰하고 그들의 입장에서 그것들을 이해하려고 하기보다는 어른의 모델을 연구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할아버지의 임박한 죽음에 대해서 들은 10살 소년은 하루 종일 자전거와 스케이트보드를 탔다. 그는 몇 주 전에 그의 할아버지가 돌아가실 지도 모른다는 것을 들었었지만 머리에서 지워 버렸다. 이제 그는 이것이 암이고 몇 주 안에 할아버지가 돌아가실 것이라는 소식을 들었다. 그는 몇 시간동안 자전거를 탔고 몇 일간 스케이트보드를 탔다. 이 주 후에 그의 할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 그 소년은 공원을 걸었고 한동안 공놀이를 했다. 그는 벤치에 그의 살아있는 친척들 모두의 이름을 연필로 썼다. 후에 그는 바위에 앉았고 수심에 잠겨 언덕을 굴러 내려오는 공을 멈추는 가장 좋은 방법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는 그가 어떻게 그 공을 쫓을 것인지를 설명했고 공 앞에 그의 신발을 놓고 공을 멈추게 했다.

 

이 시간 내내, 그는 그의 팔꿈치 위에 동전을 놓고 튀겨서 땅에 닿기 전에 잡으면서 놀았다. 이 때, 그는 그의 분석가에게 그의 할아버지가 어떻게 화장되었는지를 설명했다. 후에 그는 대포에서 a strip of caps 를 발견했고 그것들을 발화시키기 위해서 동전을 사용했다. 그것들이 폭발하고 연기가 구불구불 위로 올라갈 때 그는 입과 콧구멍을 통해서 이것을 들이마셨고 그리고 나서는 내쉬었다. 그의 분석가가 그에게 화장이 그의 할아버지를 연기로 피어오르게 했고 그가 할아버지의 죽음과 화장에 대한 그의 느낌을 다루기위해서 흡입을 하며 까꿍 놀이를 하고 있다고 애기했을 때 그는 그렇다고 했다.

 

이틀 후에 그는 기분이 좀 더 좋아진 것 같아 보였다. 그가 할아버지에 대한 질문을 회피했지만 그는 같은 바위에 돌아왔고 한동안 누워서 잠을 잤다.(혹은 자는 것으로 보였다.) 며칠 후에 그의 애도가 완성된 것으로 보였을 때, 분석가는 그에게 어린이들과 어른이 애도에 대해서 다른 느낌을 갖는다고 말했다: 어른들은 몇 주 혹은 몇 개월에 걸쳐서 천천히 가라앉고 슬퍼 보이고 그들의 기억에서 반복하는 것 같다. 그 소년은 어린이들은 어른들 만큼 대상의 상실에 대해서 알지 못하고 이것이 어린이들이 더 짧은 애도 기간을 갖는 이유라고 설명했다. 그는 계속해서 설명하기를, 어른들은 그들의 감정을 표현할 자전거와 스케이트보드를 가지고 있지 않는데 이것이 어른들이 그렇게 행동하지 않고 우울보이는 이유라고 했다. 만약에 그들이 어떤 이유들로 애도를 할 때 활동적일 수 없거나 스케이트보드와 자전거를 이용할 수 없다면 어린이들이 무엇을 할 것 같은 지를 묻자, 그는 그들은 자제력을 잃고 훔치거나 강도짓을 할 것 같다고 대답했다.

 

아이가 자신만의 방법으로 애도하는 분명한 모습에 대해 결론을 내릴 수 있을까? 아이들은 어른들보다 능동적이기 때문에 애도과정에서도 운동성의 방출 경로가 필요하다. 게다가 아이들은 시간에 대한 감각이 다르다. 성인에게 짧은 시간이 아이들에게는 매우 긴 시간이 되기도 한다. 프로이트는 애도의 전제조건으로는 죽음과 견주어 자신의 생명력을 통한 자기애적 확언이 필요하며 건강한 자기애는 자아가 애도할 수 있게 한다고 제안했다: “자아는... 대상에 대한 애착을 끊기 위해 살아있는 존재로부터 파생되는 자기애적 만족의 총량을 없앴다. 사례에서 나온 아이는 자신과 생존자가 잘 있는지 확신하기 위해 벤치에 자신과 친척들의 이름을 적었다. 아이의 정서는 슬픔과 사별이 하나였지만 예상한 애도기간 동안에, 아이는 스케이트보드에서 살아있는 것을 축하했다; 이후에 실제적인 상실을 직면했을 때, 아이는 슬펐다. 아이는 할아버지가 화장된 걸 알았다. 아이는 내리막길로 공을 굴리거나 떨어진 동전을 줍거나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뿜는 것을 멈추고 자신의 상실을 회복하는 것을 고민했다. 분명히 애도의 반대 과정을 말할 수 있다: 스케이트 보드에 대한 자신의 조적인 축하는 후각적 까꿍놀이의 죽음을 부정하고 상실한 대상들을 회복하는 것이다; 아이는 할아버지가 화장된 것과 상실을 충분히 알고 있었고, 슬픔을 경험했으며 놀이와 운동성에서 자신의 기억들과 정서들을 조절하는 것들이 아이의 애도에 기여했다. 그 아이는 상징에서 어른들이 자주 행하는 상징적인 행동으로 죽음을 돌이키려고 했다.

 

어른의 애도는 아이들의 “적극적인” 애도와는 분명히 다르지만, 애도의 부재에 대해서 행동을 동등한 것으로 취급해서는 안된다. 만일 아이의 발달 단계와 정신의 조직 단계를 살펴본다면 스케이트보드에 대한 애도가 시작된다. 어른의 내면화는 단단해지고 비인격화되어서 정신 구조는 잘 구축되고, 초기 대상과의 애착관계에서도 상대적으로 독립적인 안정감이 있다. 성인은 한 가지 방법으로 애도한다: 성인은 자신 안으로 철수하고 조용하고, 느리고, 슬프고, 명상에 잠겨 운동적으로 활발하지 않은 방법으로 자신의 기억과 정서들을 관조한다. 상대적으로 아이의 내면화는 여전히 초기 대상 애착에 의존적이며 관련되어 있다; 아이의 발달, 성장과 성숙의 방향을 당기는 것이 계속된다. 아이는, 아이의 발달과 정신적 구조의 단계에 비례한 다른 방법으로 애도할 것이다: 능동적인 면에서 아이는 슬플 것이다. 아이는 현재 발달상의 이슈들에 대한 슬픔에 “둘러싸인”게 될 것이다. 아이는 스케이트보드를 애도할 것이다.

 

그들은 민감한 교사로부터 도움을 받았기 때문에

(1) 아이들이 죽은 기니피그를 애도할 수 있었던 것은 사실일 수 있다. 이것은 아이들의 삶 에서 다른 중요한 어른 혹은 분석가에 의해 촉진될 수 있을 때 아이들의 애도를 관찰했 던 Kliman (1969), R. Furman (1964a), (1964b) 그리고 E. Furman (1974) 의 견해 와 일치된다.

(2) 대리인은 상실의 주간에서 사용 가능했다.

(3) 그 아이들은 그룹에 참여했다. 어떤 아이의 이고는 애도의 작업을 유지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그룹리더와 그룹원의 지원으로 도움을 받아, 이고는 이동할 더 많은 공간을 가졌고 애도의 작업을 해결할 수 있었다.

Comment
닉 네 임
패스워드
코드입력


서울시 종로구 인사동5길 26 홍익빌딩 6층 / 대표자 : 서상봉

E-mail : mindempathy@naver.com

© 2015 한국임상정신분석상담센터.

pc버전 바로가기